반응형

메모 관리 5

지금까지 해온 메모기록 후기와 제텔카스텐 계획

나름 제텔카스텐을 알게되고 나서 느낀건 제텔카스텐은 로만 교수가 9개의 서랍이 있는 서랍장 각 1개씩을 카테고리로서 그 서랍 안의 메모를 재료로서 사용해왔던 것 같은데, 기본적으로 글을 작성하는 행위에는 굉장히 도움이 되는 행위라는 걸 알 수 있었다. OneNote에서 카테고리 형성후 계속해서 메모를 추가할 수 있는데 어찌하다보니 이러한 OneNote형식이 굉장히 제텔카스텐 형식과 비슷하게 느껴져서이다. 다만 이걸 연결해가는 과정에서 링크가 걸리지 않는 불편은 있다. 물론 수기로 제텔카스텐을 하는것보다는 편하다. 전체 검색에서 내용 검색도 가능하지만 로만 교수의 제텔카스텐 형식을 생각하면 사실 그다지 의미없는 방식인 거같기도하다. 제텔카스텐은 알게된지 얼마 안되었기 때문에 요 몇년간 해온 메모 기록들은 ..

메모 관리 2021.01.11

일상 메모 앱 (제텔카스텐을 위한 준비 )

요 며칠 제텔카스텐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이래저래 다시 notion이나 Bear, Roam, Obsidian 등을 살펴보고 있다. 기본적으로 아직 뭔가 시스템이 안잡혀있으니 (습관적으로 기록하는 습관이 안잡혀있으니) 무료를 우선으로 보기로 했다. 1. Roam의 경우 유료(월별 15달러) 유료라서 확실히 좀더 편리하다는데 구독하게 될까봐서 시도도 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로만 교수는 수기로 했던 제텔카스텐인 만큼 굳이 좋은 프로그램이 필요하진 않을 듯 싶다. 2. Evernote OneNote가 Evernote를 벤치마킹해서 만든데다가 Evernote가 PPT로 전환, 문서 내부 검색 등을 7.99달러로 유료화 한반면 OneNote는 무료다. 게다가 이미 익숙하고 Evernote와 달리 Microsof..

메모 관리 2021.01.11

Zettelkasten 제텔카스텐 자료관리기법에 대하여

읽어보니 흥미로운 내용이 많아 링크를 추가했다. tkim.co/2020/09/15/zettelkasten/ Zettelkasten: 하루 노트 6장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만드는 방법 | Startup Lessons 우리는 종종 해 봐야 알 수 있는 것들을 해 보기 전에 선택해야 할 때가 있다. Zettelkasten은 그런 사전 선택의 문제에 있어서 효과적인 비정형 방법론(non-linear method)를 제공한다. tkim.co 위의 글에서 관심을 가지게 된건 매우 간단한 방법이란 것이다. 일단 전제는 매일 노트를 작성하는데 많이 작성할 필요는 없다. 1. 매일 새롭게 알게되는 알기 쉽게 정리한 노트 2. 기존 노트와 연결이 되게 고민하여 연결한다. 3. 특정 주제로 묶을 노트들이 쌓이면 모아서 글..

메모 관리 2021.01.08

다양한 노트 프로그램들(notion, OneNote, Roam)과 제텔카스텐

1. 노트 프로그램들 현재 여러가지 노트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지금 사용하는건 직관적인 MS OneNote다. 요즘 유행하는 notion은 귀찮아서 안건들고있다. 아무래도 사용하지 않게되는건 프로그램이 무거워서 여는데 한세월걸리고 뭔가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한눈에 보이는 인터페이스가 아니어서인지 좀 불편하게 느껴졌다. 2. 사용중인 OneNote 후기 간단하고 쉬운데다가 안드로이드 폰-노트북-회사 노트북 연계가 쉬워서 다이어리나 이런저런 기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억하기 어려운 비번에 대한 힌트나 하루/월/년 계획, 다이어리, 회사 할일 등등을 쓰고 있는데 사용이 직관적이고 굳이 따로 사용법을 배우지 않아도 꽤 괜찮게 쓰고 있어서 나같이 게으른 사람들이 쓰기 좋다. 다만 이번에 잘사용하는 만큼 추가적인 ..

메모 관리 2021.01.08
반응형